이지메디컴, 전문기관 협력으로 공공의료 예산 절감 선도

공동구매·전자조달 시스템 도입으로 전국 의료원 두 자릿수 절감률 달성

2025-11-03     김응민 기자
이지메디컴 CI

[팜뉴스=김응민 기자] 지역 거점 공공의료기관인 지방의료원이 계약사무 전문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면서 경영 효율화를 달성하고 있다.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로 재정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민관협력 프로세스 도입을 통해 획기적인 구매 예산 절감 효과를 거둔 사례가 속속 확인되고 있다.  

# 재료비 상승 압박 속, 경영 개선의 실마리  

지방 공공의료원은 재난·응급상황 등 지역 보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 의료 인프라이자, 최근 의대 정원 확대 논의로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알리오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국립대병원의 평균 의약품비는 전년 대비 10.9%, 진료재료비는 7.6% 증가해 전체 평균 9.2%의 재료비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방의료원도 예외는 아니다.  

이에 지방의료원들은 자체 구매 대신 계약사무 전문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2016년 행정안전부가 '계약사무 전문기관 지정제도'를 마련하면서 본격화됐다.  

# 전문기관 인증제도 도입 후, 예산 절감 가시화  

행안부의 전문기관 인증제도는 시행 초기부터 뚜렷한 성과를 보였다.  

2016년 계약사무 전문기관 이지메디컴과 협업한 전국 12개 지방의료원은 의약품 및 진료재료 부문에서 한 해 동안 총 36억 원, 예산 대비 약 18%의 절감 효과를 달성했다.  

특히 공주의료원 신축 개원 시 도입된 GPO(Group Purchasing Organization, 공동구매) 프로세스는 대표적 민관협력 성공사례로 꼽힌다.  

공주의료원은 2016년 개원 준비 과정에서 의료장비 및 MRO 품목을 이지메디컴과 공동 조달해 병원 예산 대비 약 30%를 절감했다. 70억 원의 복지부 지원 예산 중 23억 원을 절약해, 이 중 21억 원을 국비로 반납하기도 했다.  

# 단일구매에서 공동구매로, 절감 효과 지속  

이후에도 공동구매 확대를 통해 수십억 원대의 재정 절감이 이어졌다.  

2017년 충북 청주의료원은 2,298개 보험 품목에 대해 상한가 128억 원 대비 51억 원에 낙찰받아 약 67억 원(절감률 52%)을 절감했다.  

같은 해 원주의료원 29%, 속초의료원 26%, 충주의료원 21%의 절감률을 기록했으며, 삼척·영월의료원 또한 상한가 대비 17% 이상을 절감했다.  

2018년에는 충주·청주의료원이 의약품 공동구매를 통해 총 32.6억 원의 예산을 절감했고, 평균 인하율은 35.7%에 달했다. 군산의료원 역시 의료장비 공동구매로 약 10%의 비용을 줄였다.  

2023년 충주·청주의료원은 의약품 공동구매를 통해 각각 31.6%, 32.3%의 절감률을 달성하며 두 의료기관 합산 약 33.8억 원의 건강보험 재정을 절약했다.  

또한 2025년 진료재료 단가계약에서도 1.83억 원 절감, 자체 구매 대비 평균 절감률 10.4%를 기록했다.  

# 재료비 증가율 -1%…자체 구매 대비 10%p 격차  

2024년 공시된 35개 지방의료원 자료 분석 결과, 전문기관과 협업 중인 18개 의료원의 재료비 평균 증가율은 -1%로 감소한 반면, 자체 구매를 유지한 17곳은 평균 9% 증가했다.  

두 그룹 간 재료비 증가율 격차는 10%p에 달하며, 전문기관 협업이 비용 절감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 규모의 경제·투명한 시스템이 만든 성과  

전문기관 인증제도의 성과는 규모의 경제와 투명한 민관협력 시스템, 그리고 전문기관이 보유한 데이터 기반 조달 역량에 기인한다.  

비대면 전자조달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전자입찰 구조를 통해 공급업체 간 경쟁을 촉진하고, 의료물품의 최적 가격과 계약조건을 검증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이지메디컴은 계약 수행뿐 아니라 가격조사, 전자 견적, 안전 재고 확인, 사후 감사 등 계약 전 과정의 관리 시스템을 온라인으로 운영함으로써 업무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했다.  

이로써 특정 업체 밀어주기 등 불공정 관행을 방지하고, 재정 집행의 투명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행정안전부의 이러한 제도는 지방의료원의 경영난 해소뿐 아니라, 인구 감소·의사 부족·재료비 증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공공의료기관에 민관협력의 모범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