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동안 다리 무겁고 저리는 증상이 심해졌다면
겨울 동안 하지정맥류 증상이 악화되는 이유 하지정맥류의 예방과 치료 방법
[팜뉴스=우정민 기자] 하지정맥류 질환은 다리에 혈관이 튀어나와 보이는 증상으로 잘 알려져 있다. 다만,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증상만으로도 하지정맥류일 가능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겨울 동안 다리가 무겁거나 쉽게 피곤해지는 느낌, 저림, 작열감, 피부 가려움증 증상이 생겼거나 심해졌다면 하지정맥류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하지정맥류는 다리 정맥 내 혈액 역류를 막아주는 판막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이다. 심장에서 동맥을 통해 내보내진 혈액은 우리 몸을 돌아 정맥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돌아간다.
혈액이 발에서 심장에 이르는 긴 경로를 중력에 역행하면서 돌아갈 수 있는 것은 정맥 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한 판막 덕분이다. 하지정맥류는 정맥 내 판막이 망가지거나 헐거워져 심장으로 올라가야 할 혈액이 다리에서 역류해 생긴다.
정맥 내 판막들은 종아리 근처 정맥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하지정맥류는 주로 무릎 아래쪽의 정맥에 잘 생긴다. 판막이 제 역할을 못해 혈액이 역류하고 정체되면서 압력이 발생하면 혈관이 피부 밖으로 지렁이처럼 튀어나오는 등의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방치하면 염증이 생기고, 피부 밖으로 궤양까지 생길 수 있다.
하지정맥류는 높은 기온으로 혈관이 늘어나는 여름철에 악화되기 쉽지만, 겨울 동안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도 많다. 추위로 활동량이 줄어들면서 정맥 내 혈액 정체가 심해지기 쉬운데다, 특히 반신욕, 사우나, 찜질방 등으로 높은 기온에 자주 노출되면 다리의 혈관이 반복적으로 확장되고 수축된다. 결국 정맥이 느슨해지고 판막이 약해지면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겨울 동안 레깅스나 타이즈, 롱부츠 같이 꽉 끼는 옷이나 신발을 자주 착용하는 것도 혈액순환을 방해하면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지정맥류 증상은 다리 저림을 허리디스크로 오인하거나, 통증을 하지불안증후군 증상으로 여기기도 한다. 하지불안증후군은 잠들기 전 다리에 벌레가 기어 다니는 것처럼 이상한 감각이 느껴지거나,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으로 수면에 장애를 유발하는 증후군이다. 다리가 쑤시거나 저림 같은 증상이 있기도 해서 하지정맥류와 혼동되기 쉽다.
하지정맥류는 초기라면 의사의 상담을 통해 생활습관 조절, 식이요법, 약물 등이 도움을 줄 수 있다. 증상에 따라 혈관경화주사요법이나 레이저, 고주파를 이용한 혈관 치료도 가능하다. 하지만 방치해 악화하면 외과적인 수술로 문제가 되는 혈관을 제거해야 재발도 최소화되고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정맥류는 한 번 발생하면 자연적으로 나아지는 질환이 아닌 진행성 질환이다. 다리에 혈관이 도드라져 보이지 않더라도 다리가 무겁고 저리는 등 의심 증상이 지속되면 혈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을 시도해야 한다.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오래 서 있는 직업 등 고위험군인 경우 적극적으로 진단을 시도해야 한다.
글. 연신내 서울장문외과 송호석 원장 (외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