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키 성장 고민, 원인 파악과 체계적인 접근의 중요성

성장 시기별 특징과 올바른 관리의 중요성 체형 교정과 체질 맞춤 접근으로 성장 환경 개선

2025-01-09     우정민 기자
사진. 윤정훈 원장

[팜뉴스=우정민 기자]학교 입학과 새 학기의 시작을 앞두고 자녀들의 키 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학부모들이 많습니다. 특히 사춘기에 접어들어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자녀의 경우, 또래와의 키 차이가 눈에 띄게 드러나 학부모들이 고민하는 사례가 흔히 관찰됩니다.

초등학생부터 중학생까지의 나이별 평균 키는 소아·청소년 연령별 발육 표준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남자아이는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 여자아이는 초등학교 3학년에서 5학년 사이에 급성장기를 겪습니다. 이 시기에 1년에 약 8~9cm 이상의 키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성장을 방해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는 검사가 권장됩니다.

또한, 2차 성징이 시작되며 몸무게는 늘지만 키 성장이 더딘 경우에는 성장 시기에 맞춘 체계적인 접근이 중요합니다. 성장 관리는 개인의 상태와 특성에 따라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의학에서는 체형 교정, 에너지 보충, 소아비만 관리 등을 통해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한의학적으로 척추와 골반의 불균형이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추나요법, 체형 교정, 그리고 운동 치료 등이 활용됩니다. 이러한 방법은 자세 교정을 돕고 성장 환경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또한, 성장은 단순히 키의 증가뿐 아니라 신체 내부 장기의 성장과 발달과도 연관됩니다. 이에 따라 성장기에는 적절한 영양 섭취와 에너지 보충이 필요합니다. 한의학에서는 개인의 체질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약을 처방하여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식생활 변화와 환경 변화로 인해 조기 성숙 또는 지연 성숙, 소아 비만 등이 키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자주 관찰됩니다. 이에 따라 성장 관리는 개인의 상태와 생활습관,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아동의 성장기는 제한된 시기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기에 맞는 적절한 평가와 접근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전문가의 진단과 함께 아이에게 적합한 방법을 찾아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글. 군산 바른한의원 윤정훈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