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부쩍 늘어난 야외활동, 다리부종 심하다면 '하지정맥류' 의심해야
선선한 가을 날씨가 지속되면서 다양한 야외활동을 즐기는 이들이 늘고 있다. 단풍을 구경하는 등산이나 트래킹을 비롯해 각종 스포츠를 즐기는 것인데, 무리한 야외활동 이후 다리부종이나 통증이 느껴진다면 '하지정맥류'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야외활동 후 부종이나 통증이 생기더라도, 무리한 활동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한 증상이라 여긴다. 하지만 이 증상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거나, 또 증상이 악화한다면 하지정맥류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정맥류는 다리 정맥 속 판막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판막은 심장에서 흘러나온 혈액이 역류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돕는데, 이 판막이 손상되면 혈액이 역류하며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
대표적인 증상이 다리부종이나 통증인데, 이외에도 저리거나 열감, 잘 때 다리에 쥐가 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 혈관이 울퉁불퉁해지는 혈관 돌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악화할 경우 색소침착, 궤양, 피부염 등 합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 주의해야 한다.
하지정맥류는 선천적으로 정맥 판막이 약하게 태어나거나, 후천적으로 오래 앉아 있거나 서 있는 등의 생활습관으로 인해 발병할 수 있다. 노화, 비만도 큰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하지정맥류를 의심할 만한 증상이 있다면 혈관 전문가와 빠르게 상담해야 한다.
하지정맥류는 혈관초음파 검사로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다.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보존적 요법으로 완화가 어려운 상태라면 발거술, 레이저, 고주파, 베나실, 클라리베인, 플레보그립 등의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
무리한 야외활동 후 하지정맥류를 의심할 만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에 내원해 정밀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특히 운동부족으로 인해 다리가 불편하다고 느끼고, 오히려 등산이나 달리기 등의 운동을 무리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하지정맥류 증상이 의심될 경우 정확한 진단을 받고 체계적인 치료에 나서는 것이다. 검사를 통해 적합한 시술을 받고, 또 평소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등의 생활습관 교정도 필요하다.
글. 초이스외과 최찬중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