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격전의 현장 강압제 시장
고협압의 증상과 치료
2004-03-30 팜뉴스
성인중 20-30% 발병 합병증 유발 위험
운동및 식생활 개선, 예방 치료에 주효
'혈압정상화 및 합병증 예방' 고혈압 관리목적
혈압과 고혈압의 정의
혈압이란 혈액이 심장으로부터 뿜어져 나오면서 인체의 동맥벽에 미치는 압력을 말합니다. 동맥의 벽에 과다한 힘이 가해지면 혈압이 상승한다.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고혈압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성인에서 흔히 발생하고, 모르고 지낼 때 위험한 합병증을 일으켜 이로 인하여 평생 병을 앓거나 사망하는 사람의 수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고혈압은 우리나라 30세 이상의 성인 중 약 20% - 30%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고혈압의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이 우리나라 사망 원인 중 제 2 위를 차지하고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
고혈압의 원인(위험요인)
고혈압은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우리 나라의 30세 이상 성인 중 10명 중 1명 이상은 고혈압 환자이다. 60세가 넘으면 30%이상이 고혈압 환자이다. 나이가 많을수록 환자도 많아집니다만, 고혈압이 정상 노화과정은 아니다. 고혈압이 생길 위험이 높은 사람은 다음과 같다.
고혈압의 위험인자
고혈압의 증상
혈압이 높더라도 증상이 없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전세계적으로 6억 명의 사람들이 고혈압을 앓고 있고, 고혈압 때문에 매년 3백만 명이 사망한다. 고혈압환자 중 자신이 고혈압인지 아는 사람은 반밖에 안되고, 이중 반만 치료를 하고, 치료하는 사람 중 제대로 조절하는 사람은 또 반 밖에 안된다.
즉 고혈압 환자 중 제대로 조절하는 사람은 총 환자의 12.5%에 불과합니다. 증상이 없다고 고혈압을 방치하면 협심증, 심장경색 등의 관상동맥질환, 중풍 등의 병으로 발전해 사망의 원인이 된다. 혈압이 높더라도 머리가 아프거나 뒷골이 당기는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는 드뭅니다. 재보기 전에는 고혈압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1-2년에 한 번씩은 혈압을 측정해보는 것이 좋다.드물게 혈압이 갑자기 올라가면 두통, 어지러움, 의식장애, 손발의 감각장애나 마비, 호흡곤란, 손발이 붓거나, 가슴에 통증이 올 수도 있다.
올바른 혈압 측정방법
혈압은 신체활동에 따라 늘 변하므로 일단 여러 번 측정해야 합니다. 또한 바른 방법으로 재야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있다. 표준으로 쓰는 올바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은혈압계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아네로이드 또는 전자혈압계를 사용할 수 있다.
-환자는 혈압 측정 30분전부터 커피, 담배를 끊고 최소한 5분 이상 안정을 취한 후 측정한다.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등을 기대고 편안한 자세에서 측정하며 팔은 심장 높이로 유지한다.
-표준 압박대를 사용하되 팔의 굵기에 따라 압박대의 크기를 조정한다. 압박대의 하단이 팔꿈치 접히는 선의 위쪽으로 약 2.5cm 위치 높이에 오도록 하고, 상완에 착용시킨다. 이때 압박대가 너무 느슨하면 안되며, 압박대 안으로 손가락 1개 정도가 들어갈 정도의 여유가 있게 한다.
-혈압 측정시최소한 2분 간격으로 2번 이상 측정하여 평균치를 사용하고 측정일을 달리하여 재차 측정한다.
-초진시에는 양쪽 팔에서 측정해야 하며, 고령자 또는, 당뇨병 환자에서는 기립자세에서도 혈압을 측정해야 한다.
최근에 개정된 혈압에 따른 분류(미국합동조사위원회 7차보고서)는 다음과 같다.
2003년 5월에 발표된 JNC-7(제 7차 미국합동위원회) 보고서의 고혈압 분류 중에서 가장 큰 특징은 '고혈압 전단계의 설정‘과 ’고혈압 분류의 간략화‘를 들 수 있다. 기존에 ‘정상’ 및 ‘높은 정상’으로 분류되었던 120/80-139/89 mmHg 사이 혈압을 정상이 아닌 ‘고혈압 전단계’로 분류한 것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높은 그룹으로 이해해 좀 더 적극적인 생활요법을 권유하고자 한 취지이다.
고혈압환자의 목표 혈압
고혈압 환자의 목표 혈압은 140/90mmHg미만이다.
환자가 고령이라도 가능하다면 140/90mmHg아래로 낮추는 것이 좋다.
또한 고혈압이 무서운 것은 합병증인 심장질환, 중풍이 오기 때문이므로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을 치료하는 것이 혈압을 떨어뜨리는 것 만큼 중요하다.
이 위험요인 유무에 따라 목표 혈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개개인에 따른 목표혈압은 주치의와 상의해야 한다.
예1.) 혈압이 140/90mmHg이라는 건 어떤 의미입니까? 혈압을 말할 때 흔히 '최고는 얼마, 최저는 얼마'라고 하는데 최고 혈압이란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