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특집Ⅱ] 약국불황 탈출구
동네약국 OTC활성화 방안
2002-04-30 팜뉴스
온누리 대웅약국운영
처방약 의존 탈피 테마약국 지향
한방·생식·건식·기능성화장품 등 다양
약국시장의 부진이 계속되고 처방전 매출에 따른 전문약의 성장도 한계에 다다른 현재 제약회사의 성장을 가능하게 할 유일한 대안은 OTC의 성장밖에 없다.
위기에 처한 건강보험재정도 안정화시키고 의약분업으로 인한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시킬수 있는 것도 양질의 OTC를 개발하는 것뿐이다.
의약분업이후 약사나 제약회사나 모든 시선이 처방에 고정되다 보니까 아무 생각도 없이, 방향도 없이 처방전 수용에 진력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의약분업이 어느 정도 세팅된 지금 우리는 어디에 서있는지, 어디로 가야할 지에 대한 많은 모색들이 있어왔다.
현재처럼 매약(편의상 OTC라 부른다)이 죽게된 책임은 약사나 제약회사 모두에게 있고 정책적인 실패도 상당부분 기인한다.
모든 영업인력을 처방유치에 돌렸고 OTC영업은 거의 포기 했을 뿐만 아니라 광고도 하지
않았고, 약사들도 처방 수용에 매달리다보니 그저 간단한 약을 집어 주기에 바빴다
이러한 반성위에서 OTC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테마 약국
약사 직능도 살리고 약국매출도 높일 수 있는 테마약국들이 처방전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분업이전까지 활기를 띠던 테마약국들이 분업 이후 잠시 주춤했으나 최근 처방전 일변도의 매출구조가 한계를 노출하면서 다시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다.
테마약국의 경우, 한방, 건강보조식품, 생식, 기능성화장품 등 다양한 의약외품을 통해 처방전과 무관하게 많게는 매달 수백만원대의 수입을 올릴 수 있어 동네약국의 대안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를 통해 약국이미지가 대폭 상승하면서 일부 처방전 회귀현상까지 발생하는 등 매출다각화의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우리는 여기에서 결국 약사의 "약에 대한 지배력'이 환자를 유치하는 최선의 도구라는 것에 동의해야 한다.
처방전으로 수행하는 조제는 어떤 약국이나 똑같다는 인식을 주기 때문에 환자들의 약국동선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한방이나 건강보조식품,대체의약을 수용한 약국들은 환자들에게 각인된 명성으로 인해 ETC와 OTC의 판매도 동시에 증대되는 경우를 많이 보고있다.
이들 중 일부는 지역적인 범위를 뛰어넘어 전국적으로 다수의 단골고객을 확보한 사례도 있으며 대형화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단골 고객들중엔 의사들이 포기한 중증환자 및 만성환자들도 상당수 포함돼 있으며 출신지역도 전국을 포괄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OTC활성화의 성공비결이 숨어 있는 것이다.
약국을 주로 방문하는, 감기를 비롯한 호흡기계환자, 소화기계환자, 골격근질환자등을 케어할 수 있는 테마약국을 활성화해야 한다.
체인업체인 온누리건강, 옵티마, 다이어트피아, 라이프팜등의 테마약국 육성책이 결국 OTC에 대한 약국의 지배력을 높이는 좋은 본보기를 보여주는 것이다.
건식 등 다양한 제품개발
현재 약국가에서 판매되는 주요 OTC는 처방전을 소지한 환자의 지명구매, 병원이 폐문한 시간에 이루어지는 간단한 상담구매 등이다.
그러나 처방전과 함께 이뤄지는 매약판매는 위법의 가능성이 상존하기 때문에 극도로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 부분을 커버하는 기능성건강식품의 다양한 개발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식품의 병용투여는 처방전 변경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병·의원이 폐문한 저녁시간에 주로 상담되는 OTC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감기약이라 하더라도 좀 더 세밀한 증상분류를 통한 다양한 OTC를 개발·판매해야 하며 위장질환, 근골격질환에 대해서도 양·한방을 병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처방에 대해 집중하다보면 소홀해지는 상담을 보완하기 위해 OTC 활성화 광고도 집중 시행해야 한다.
의약분업 초기보다 많이 개선되었지만 아직도 환자들의 머리속엔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약이 거의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약을 구입하기 위해서 처방전이 항상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벤트 활성화
그리고 이벤트를 활성화 시켜야한다. 약품처럼 생산자의 마케팅이 빈약한 것도 없다는 생각에 동의할 것이다. 작금의 정보통신업계의 마케팅, 백화점업계의 마케팅을 보라.
그 현란한 마켓팅 능력에 눈이 부실 지경이다.
상용 OTC의 패키지화, 골격근 질환의 원인 치료제의 패키지 상품 등 여러 가지 다양한 OTC패키지를 활성화 시켜 구매욕과 객단가를 높혀 주는 노력들이 긴요한 시점이다.
우리는 지금 절대적 명제 앞에 서 있다.
제약회사나 약국이나 OTC를 활용한 경영능력의 확대 없이는 더 이상의 성장도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