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환 교수(경희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경희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정경환 교수
경희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정경환 교수

만성 콩팥병은 5단계로 구분 된다. 말기신부전(만성 콩팥병 5기)에 이르면 콩팥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신대체요 법이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신장이식, 투석(혈액·복막)이 있다. 그 중 가장 도움이 되고 이상적인 치료법은 바로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콩팥을 대신하는 ‘신장이식’이다.

하지만, 신장공여자를 구하기 쉽지 않아 대부분 환자들은 투석으로 대체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부분의 환자는 투석에 의존하며 콩팥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투석요법에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있다. 어떤 방법을 선택 해도 상관없지만, 특수한 경우에는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먼저 선택하게 된다. 다만, 합병증 등으로 현재의 투석 방법을 지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될 때는 투석방법의 교체를 고려해봐야 한다.

말기 신부전으로 인한 합병증이 심해지기 전에 신장 전문 의료 진과의 상담 하에 신대체요법을 빠르게 준비해야 한다. 다낭성 신장질환이거나 탈장, 요통, 최근 복부 수술을 한 환자는 혈액투 석을, 유소아·심장질환자·혈관이 좋지 않은 당뇨병 환자 등은 복막투석이 적합하다.

혈액투석은 동정맥루, 인조혈관 등 혈관통로를 통해 요독과 과도한 수분을 제거하여 콩팥 기능을 대신하는 방법이다. 보통 1 주일에 3회, 1회 4시간씩 투석치료를 받아야 한다. 며칠 동안 쌓였던 수분과 노폐물을 단시간 내에 제거하므로 혈압 저하, 피로및 허약감을 느낄 수 있다.

복막투석은 복강 내 복막투석을 위한 영구적인 도관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환자의 집에서 스스로 할 수 있으며, 하루에 4회 복막액을 주입하고 6시간 동안 복강 체류 후 배액하면 된다. 병원 방문 횟수가 적고, 지속적인 투석으로 인해 식사가 비교적 자유 롭고 혈압 조절도 잘 되지만, 복막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신장이식은 실제 많은 투석 환자들의 꿈의 치료이다. 신장공여 자를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식은 공여자에 따라 크게 생체 이식과 뇌사자이식으로 나눠진다.

생체이식 : 가족 등 혈연관계 또는 비 혈연관계의 건강한 사람인 공여자

뇌사자이식 : 뇌사상태인 공여자

생체이식은 각 병원 장기이식센터에 방문하여 사전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사전 정밀검사에는 적합성, 혈액형, 조직형, 세포 독성항체 검사 등이 있다. 적합하다고 판정될 시에는 국립장기 이식관리센터 승인을 통해 수술팀을 구성, 수술을 진행한다.

만약, 적합한 신장공여자가 없어 뇌사자의 신장을 이식받고자 한다면 우선, 장기이식센터를 통해 상담 후, 질병관리본부 장기 이식관리센터에 신장이식 수혜대기자 등록을 해야 한다. 이후, 뇌사자가 발생하면 정해진 규정에 따라 대상자가 결정된다.

신장이식은 무엇보다 신장공여자가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수술 후 이식받은 신장이 기능을 유지할 확률은 수술 1년 후 약 94%, 5년 후에는 약 80% 이상으로, 의학의 발달에 따라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편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