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골다공증 질환에 대한 심각성에 비해 정책적 지원이 부족하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나왔다. 다른 만성질환에 비해 약물 치료 급여기준이 제한적인 것이 가장 문제라는 지적이다.

대한골대사학회(회장 윤병구, 이사장 정호연)가 지난달 28일부터 6월 1일까지 회원 114명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치료 정책 관련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결과, 전문가 대부분은 골다공증에 대한 정부의 질환 심각성 인식과 정책적 지원이 부족하다(88.6%)고 생각하며, 60.5%가 제한적 약물 치료 급여기준을 이유로 꼽았다.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환경에서 가장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으로 ‘골다공증 치료 지속률(64.9%, 복수응답)’이 가장 높았다. 치료 지속률이 저조한 원인에 대해서는 ‘골다공증 치료제의 제한적인 급여 적용 요건(60.5%)’이 가장 많았다.

현재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제 급여 기준에는 골밀도 수치가 일정 수준(T-score –2.5) 이상 개선되면 치료제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가 중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전문가들은 ‘증상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질환 특성(55.3%)’과 ‘골절 발생 등 치료 중단시 심각성에 대한 환자들의 인식 부족(53.5%)’도 낮은 치료 지속률에 한몫한다고 평가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골다공증 약물 치료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지원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체 63.2%로 가장 높았다.

그 외에도 골다공증을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 관리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58.8%)'는 의견, '골다공증의 검진 기회를 늘려야 한다(34.2%)'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한편,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한 환자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골다공증성 골절 및 재골절로 인한 신체적 골절(57%)’이 가장 많았고, ‘시술 및 수술로 인한 장기 요양(50.9%)’, ‘골절 및 환자 간병 문제로 인한 환자와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41.2%)’ 등을 꼽았다.

골대사학회 정호연 이사장은 “초고령 사회를 앞둔 우리나라는 골다공증 유병률과 골절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골다공증성 골절은 사망을 초래하거나 거동이 제한돼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야기하는 만큼 골다공증 치료 환경과 정책 개선의 필요성을 사회와 정부에 적극 알려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에 학회는 설립 30주년을 기념해 대국민 골다공증 인식제고 및 골절 예방 치료환경 조성을 위한 ‘2019 골(骨)든타임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달 27일부터 한달간 TBS 교통방송을 통해 대국민 캠페인을 진행한다.

그 외 하반기에는 일반인에게 골다공증의 심각성과 치료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영상‧포토에세이‧포스터 공모전을 진행할 예정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