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의료기기산업이 새로운 디지털 라이프가 원하는 4차산업 혁명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식약처는 지난 29일 열 한번째 의료기기의 날을 맞아 국내 의료기기산업의 발전을 되짚어 보고 미래 신성장동력으로서의 가능성을 재차 확인했다.

그런데 이날 현장에서 나온 업계의 얘기를 들어 보면 지금과 같은 생태계에서는 우리나라 의료기기산업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국내 의료기기산업이 일정 수준까지 도달하는 데는 일단 문제가 없지만 현재의 환경에서는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은 사실상 힘들다는 애기. 

의료기기업계 한 관계자는 “사실 기술의 수준은 두 번째 문제다. 기업 간 치열한 경쟁을 통해 만들어진 새로운 제품이라도 시장에서 생존하는 것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여기서 성공적인 사례를 들여다보면 공통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들 대부분 신제품 출시 사이클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디테일’에 대한 치열한 고민을 한 흔적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여기서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인공지능(AI) 의사다.

사실 인공지능 의사의 상용화는 아직까지 현실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 그런데도 소비자 사이에서 AI 의사가 주목받는 데에는 ‘소비자가 원하는 스토리’를 만들어 냈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실제로 인공지능 의사가 나올 경우 의료수가가 30%까지 낮아짐으로써 환자들의 재정적 부담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사회 전반에 퍼졌다. 이는 인문학적 관점에서 소비자의 디테일을 분석하고 ‘스토리 텔링’으로 포장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라는 것.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첨단의료기기산업과 같은 새로운 영역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접근법이라고는 단지 낡은 규제를 손보거나 신속한 제품화에 대한 지원을 통해 시장 진입을 앞당기는 게 전부인 상황.

실제로 식약처는 4차 혁명 시대의 새로운 성장 동력인 디지털 의료기술 발전을 위해 융복합 헬스케어 활성화 대책을 내놓는 등 이미 제도적 기반 마련에 만반의 준비를 해왔다.

하지만 문제는 정부의 이 같은 지원을 등에 업고 시장진입에 성공한 기업들이 과연 현장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국가의 정책적 지원에도 변화를 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

의료기기업계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이 없을 경우 산업 자체가 퇴보할 수 있는 만큼 정부와 업계는 주먹구구식 대응이 아닌 실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특히 업계는 소비자 중심의 콘텐츠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창조해야만 산업혁명에 따른 의료기기 시장의 변화에서 생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