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김기현 교수]

다발골수종 치료제의 허가가 늦어지는 만큼 정부가 환자의 수명을 단축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김기현 교수는 18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현 NCCN(미국 종합 암 네트워크) 가이드라인과 국내 허가 관련 입장에 대해 이같이 전했다. 



최근 NCCN은 가이드라인 업데이트를 통해 다발골수종을 처음 진단 받은 이식 가능한 환자에 대한 선호요법 중 ‘보르테조밉+덱사메타손’과 ‘보르테조밉+탈리도마이드+덱사메타손’을, 이식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선호요법 중 ‘보르테조밉+덱사메타손’은 기타요법으로 하향 조정했다.

특히 처음 진단받은 환자의 유지요법에서는 탈리도마이드가 삭제됐고, 국내에서 이식 불가능 환자군에 대해 보험급여가 인정되고 있는 ‘보르테조밉+멜팔란+프레드니손’ 치료요법은 2017 NCCN 가이드라인에서는 더 이상 권고하지 않고 있다. 이 치료요법들은 다수가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치료요법들 중 하나다. 



김 교수는 “미국에서는 더 좋은 신약들이 나오면서 부작용이 많은 치료제를 더 이상 쓸 필요가 없다며 아예 가이드라인에서 삭제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최근 급여에 포함되는 등 2년 정도가 뒤처져 있다”며 “이전 기준도 못 따라가는 상황에서 미국 기준은 더 높아져 버린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NCCN 기준으로 3~4년 정도 늦은 수준이다. 국내 학회에서도 계속 새로운 치료요법에 대해 논의되고 있지만 국내 허가 및 보험이 될 때까지 알면서도 환자들에게 처방하지 못해 마음이 무겁다”며 “3~4년 지나 처방이 원활해지더라도 또 새로운 신약이 나와서 이같은 악순환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NCCN도 미국 의사들이 만든 가이드라인인 만큼 절대적으로 생각할 필요는 없지만 신약에 대한 대응이 늦어질수록 더 살 수 있는 우리나라 환자들의 수명은 그만큼 단축된다는 것.

김 교수는 “신약 처방시 평균적으로 2년 정도 더 생존할 수 있음에도 허가가 나지 않아 사실상 정부가 환자들을 2년 일찍 죽게 만드는 간접살인을 저지르고 있는 것과 다름없다”며 “정부야 직접 죽어가는 환자들을 대면하지 않으니 모르겠지만 의사들은 더 나은 치료제를 아는데도 쓸 수 없어 괴롭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보험측면에서도 심평원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제약사에 환자들의 암 치료제 사용 빈도 및 비용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경제성평가를 진행해오도록 하는 등 절차상 기간단축에 대한 부분들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가이드라인이 명확하면 훨씬 빨리 진행될 수 있는 만큼 프로세스 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