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이권구 기자]  미국 백악관 코로나 대응 조정관(Jeff Zients)은 지난 2일  코로나19 백신 생산 강화를 위해 3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신 생산에 필요한 바이오리액터 백, 튜빙, 리피드, 바이알, 주사기 및 주사기바늘 등 생산을 촉진하는데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으나 세부적 계획은 공개되지 않았고,  현재까지 미국은 다른 나라에 백신 1억 3천만 도즈를 기부했으며, 내년 중반까지 6억 도즈 이상을 기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미국 의약전문매체인 Fierce Pharma는 비영리기관인 ‘PrEP4All’ 이슈보고서 ‘세상이 불타는 동안 바이올린 연주하기(Playing Fiddle While the World Burns)‘가 발간되고 일주일 후에 이번 백신 공급망 확대를 위한 투자계획이 나왔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 한국바이오협회가 7일 낸 ‘미국의 투자 배경 및 파급효과, 그리고 우리의 추진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PrEP4All 보고서’는 미국 정부가 올해 1월 14일 발표한 1조 9천억달러 규모 코로나19 대응 경기부양책(American Rescue Plan)에 따라 160억 달러가 백신 및 의료대응제품 생산 확대 를 위해 배정됐으나 현재까지 1.45억 달러만 집행됐다고 지적했다. 

또 여러 백신기업들이 2021년 120억 도즈 이상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으나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 생산량 평균 6배 이상을 생산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보고서에서는 mRNA 백신은 다른 백신 플랫폼에 비해 생산에 큰 어려움은 없으나 여전히 생산 용량은 낮다며, 미국, 유럽, 일본, 한국과 같은 성숙한 바이오의약품 시장과 풍부한 CDMO 경험이 있는 국가들에 생산을 집중하면 신속히 생산 용량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40억 달러에서 130억 달러를 투자해 mRNA 생산시설을 짓는다면 전 세계 인구 접종에 충분한 백신이 생산될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이 전 세계를 위해 가장 빠르고 신뢰할 만한 백신 생산 확대 방안으로, 이는 미국 정부 투자를 통해 가능하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 발표와 관련, 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미국 기업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백신 원부자재에 대한 자국내 생산 역량 확대와 이를 통해 다른 나라를 위한 백신 무기고가 되겠다는 미국 정책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글로벌 백신 리더로서 미국 영향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가 올해  3월 발표한 자료에는 백신 생산 밸류체인상 글로벌 공급망 애로 품목이 예시돼 있으며, mRNA 백신에 특화돼 사용되는 리피드나노파트클(LNP) 등 일부를 제외하면 백신에 사용되는 원부자재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바이오의약품 생산에도 사용되고 있는 품목들이다.

보고서는  “ 우리도 다양한 바이오 소부장 품목들 자립화를 추진해야 하며, 국내 바이오 소부장기업들이 대부분 중소기업임을 감안해 정부지원 확대를 통해 백신을 비롯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강국으로도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라며 “ 바이오 소부장 성공적 상용화를 위해서는 소부장 공급기업들 노력과 더불어 수요기업들 적극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또 “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커지고, 높아진 국내 기업 CDMO 위상을 해외 기업 투자유치 계기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 한국이 주요 바이오의약품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어 바이오의약품에 사용되는 주요 원부자재를 공급하는 해외기업 생산시설을 한국에 유치하는 한편, 백신 생산용량 확대를 모색하는 해외 기업들에게 국내 우수한 CDMO 역량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데 지금이 적기”라고 강조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