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팜뉴스=신용수 기자] 국회에서 국내 코로나19 백신 보급 확대를 위해 위탁생산 중인 백신 반출을 제한하고 러시아‧중국에서 개발한 백신들을 도입하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의료계는 러시아 백신은 늦었지만 데이터 공개를 통해 어느 정도 신뢰성을 확보했다면서 도입을 논의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국내에서 이미 원액을 위탁생산 중인 만큼, 보급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는 것. 반면 중국 백신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고 평가 절하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인 이용호 무소속 의원은 최근 보도자료 및 기자회견을 통해 백신 반출 제한과 러시아‧중국 코로나19 백신 도입 등 백신 수급률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안했다. 

이 의원은 3월 30일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전 세계가 백신 확보 전쟁을 벌이고 있다. 유럽연합(EU)와 인도 등 세계적 백신 생산국들이 자국 우선주의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며 “우리도 범정부 차원에서 수급 불안이 풀리기 전까지 국내 생산 백신에 대해 반출제한 조치를 하거나, 당초 계약한 물량을 차질 없이 직접 공수해 오는 등 특단의 백신수급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 의원은 1일 “백신 자국주의로 인한 국내 백신 수급에 빨간불이 켜졌지만, 방역당국은 러시아와 중국에서 개발된 백신에 대해서는 자료제출 요구도, 검토도 진행하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존 도입하기로 계약한 백신 외에는 아예 검토조차 하지 않겠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덩샤오핑 중국 전 주석의 명언인 ‘흑묘백묘론’을 인용하기도 했다. 그는 “흰 백신이든 검은 백신이든 코로나만 잘 잡으면 된다”며 “백신 수급 골든타임을 놓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정치권에서 백신 수출제한과 타 국가 개발 백신 추가 도입에 관한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의료계에서는 백신 수출제한은 어렵겠지만, 러시아 백신 도입은 긍정적으로 고려해볼 만하다고 평가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 우리가 생산 중인 백신은 우리 기술로 온전히 개발한 제품이 아니다”라며 “위탁생산 특성상 백신 생산의 주도권을 가진 상황이 아니다. 위탁생산분을 놓고 물량을 협박한다면 국제적으로도 신뢰를 잃을 뿐만 아니라 차후 국제 분쟁에 휘말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수출제한 조치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정치권의 이야기 중 러시아 백신 ‘스푸트니크 V’에 대한 이야기는 귀 기울여 들을 만하다”며 “물론 적극적으로 도입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결코 아니다. 예를 들자면 ‘플랜 C’에서 ‘플랜 B’ 정도로 격상시킬 만하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또 “정치적 이슈를 떠나서 과학적인 것만 살펴봤을 때, 러시아 백신의 경우 임상3상에 관한 논문을 ‘랜싯’이라는 저명한 국제학술지에 공개했고, 91%의 효능을 나타냈다는 것을 동료평가를 통해 인정받았다”며 “스푸트니크 V는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 등 백신과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과 비슷한 효능을 보일 것으로 예측한다. 국내에서 위탁생산 중인 만큼 접종 속도를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헀다.

의료계는 다만 러시아 백신의 즉시 도입에 대해서는 의문부호를 던졌다. 추가적인 검증 절차를 거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앞서의 김 교수는 “물론 현장에서 봤을 때 백신 보급이 충분치 않다”며 “집단면역을 형성하려면 인구의 최소 60~70%에서 항체가 형성돼야 한다. 국내 보급 중인 백신들의 효능을 수치로만 따졌을 때, 적어도 80%가 백신 접종을 2회 모두 완료해야 집단면역을 기대해볼 만하다. 하지만 현재 접종 인원이 겨우 100만 명에 다다른 수준이다. 전반기 1200만 명에게 접종하겠다던 목표치도 현재 90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백신 추가 도입이 꼭 필요한 상황인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국민 여러분의 스푸트니크 V에 대한 불신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라며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소규모 임상으로 한 번 더 검증한 뒤 도입을 추진한다면 어떨까 조심스럽게 제안한다. 특히 현재 국내에서 위탁생산 중인 한국코러스의 경우 기존에 백신에 주력하던 회사가 아닌 만큼, 이 부분도 식약처 차원에서 한번 더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식약처 차원에서 위탁생산 시설을 감사하고 전문가들이 효능 및 도입 여부를 따져볼 수 있도록 전임상과 임상 자료를 철저히 검토하는 등 절차를 통해 국민 불안을 누그러뜨린 뒤 도입한다면, 차후 심각한 백신 수급난을 겪을 때 이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중국산 백신 ‘시노백’에 대한 평가는 다소 박했다. 아직 도입을 논의할 단계가 아니라는 것. 

김 교수는 “시노백의 경우 아직 논문으로 발표된 임상 3상 결과가 없다”며 “물론 현재 남미와 중동 등에서 사용하고 있고 효과가 90%다 이런 이야기가 나오고는 있다. 하지만 이는 엄밀한 과학적인 절차로 증명된 것이 아니다. 학계의 검증을 거치지 않은 데이터만으론 백신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노백의 경우 플랫폼 자체가 바이러스를 불활성화한 불활성화 백신으로 효능이 떨어진다는 태생적 약점을 지니고 있다”며 “또 T세포 면역과 같은 세포 매개 면역을 유도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도입한다고 해도 효율성 측면에서 좋은 선택지로 보이지는 않는다. 부작용 사례도 무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