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각국의 ‘방역 성적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코로나19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보건당국의 주요 정책, 지형적 특성, 의료체계 등에 따라 약 200개 국가가 상반된 결과를 내고 있는 까닭이다.

그렇다면 ‘부자 나라’들의 방역 성과는 어떨까. 팜뉴스가 지구촌에서 가장 ‘잘’ 사는 국가들의 코로나19 대응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일부 부국들은 코로나19 펜데믹에 맞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대다수 부국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룩셈부르크는 1인당 GDP(국내총생산) 11만 4340달러에 달하는 세계 최고의 부국(富國)이다. 스위스(8만 2838달러)와 노르웨이(8만 1807달러)는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아일랜드(7만 7449달러)와 아이슬란드(7만 3191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 주로 유럽 국가들이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6위와 7위는 각각 싱가포르(6만 4581달러)와 미국(6만 2641달러)이다. 덴마크(6만 595달러), 호주(5만 7305달러), 스웨덴(5만 7305달러)가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11위를 기록한 오스트리아(5만 1512달러)부터 20위를 차지한 뉴질랜드(4만 1966달러) 등 10개 부국들이 뒤를 이었다. 이들은 이른바 ‘돈’ 많고 ‘잘’사는 나라들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잘’사는 ‘섬나라’가 뛰어난 방역 성적표를 보여줬다는 점이다.

글로벌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21일 기준)를 분석한 결과, 뉴질랜드의 인구 100만명당 사망자수는 4명뿐이다. 확진자수 역시 1654명으로 20개 부국 중에서도 최저 수준이다. 잘 사는 나라들 가운데서도 뉴질랜드가 단연 돋보이는 성과를 기록한 것.

물론 뉴질랜드는 지난 6월 세계최초로 종식 선언을 한 이후 최근 감염자가 늘고 있는 추세지만 ‘코로나 청정국’의 지위는 여전하다. 세계 최고의 부국들의 인구 100만명당 평균 사망자수가 약 220명인 점을 감안한다면, 뉴질랜드의 성적은 그야말로 독보적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는 뉴질랜드의 ‘지형적 특성’과 ‘강경책’ 덕분이다. ‘고립된 섬나라’이기 때문에 역외 유입을 원천 차단할 수 있어 바이러스 통제가 용이했다. 뉴질랜드 정부는 3월경 확진자수가 28명을 기록했을 당시 외국인의 입국을 전면 금지했다.

싱가포르의 활약도 다르지 않다. 싱가포르의 인구 100만명당 사망자수는 5명으로 뉴질랜드에 이어 가장 적었다. 싱가포르도 63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로 코로나19 유행 초기부터 강력한 봉쇄조치를 취했다. 1월 29일부터 후베이성 출신 여행자 입국 금지하고 2월 1일 중국 여행자 대상 모든 형태의 비자 제공 중단했다.

홍콩, 호주의 활약도 놀라운 수준이다. 이들 국가의 인구 100만명당 사망자수는 각각 10명과 18명이었다. 아이슬란드가 29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아이슬란드 역시 북대서양 한가운데에 위치한 고립무원의 섬나라다.

호주도 인도양의 남쪽에 있는 거대한 섬이다. 홍콩 역시 홍콩섬과 주룽반도의 주룽, 신계와 부근의 섬들을 포함한 나라라는 점을 고려하면, ‘부자 섬나라’가 코로나19 방역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고 있는 셈이다.

반면 일부 ‘잘’사는 ‘부국’들은 체면을 구긴 것으로 드러났다.

벨기에의 인구 100만명당 사망자수는 860명. 1인당 GDP 상위 20개국 가운데 가장 많은 사망자수를 기록한 것. ‘부’가 넘치는 국가이지만 코로나19 방역에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수치다.

벨기에는 약 20만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프랑스와 독일의 인접국이다. 섬나라에 비해 해외 유입을 전면 차단할 수 없는 지형적 특성을 지닌 국가다. 더구나 벨기에는 노인들이 있는 요양원에서 코로나19 사망자가 급증했다.

요양원 직원들의 보호장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탓에 노인들이 보호를 받지 못했다. 자유무역을 기치에 내건 ‘수출대국’이지만 정작 미흡한 의료시스템 때문에 최악의 ‘방역 성적표’를 받아든 것.

영국도 벨기에에 이어 인구100명당 사망자수 2위(609명)를 기록했다. ‘섬나라 부국’이지만 영국정부가 선제적이고 과감한 봉쇄조치를 도입하는데 주저한 탓이다. 영국은 코로나19 사태 초기부터 마스크의 방역 효과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지난 6월까지 마스크 착용 권고 조치를 유보했었다.

스웨덴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스웨덴의 인구100명당 사망자수는 574명으로 ‘북유럽 롤모델’ 대표국가의 명성에 치명타를 입었다. 스웨덴은 코로나19 확산 초기부터 집단면역을 위해 봉쇄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오히려 술집, 식당 등은 영업을 활발하게 이어갔다. 하지만 고위험군 보호에 실패하면서 요양시설에서 노인 사망자가 속출했다.

‘세계 최강대국’ 미국(535명)과 ‘영원한 농업 선진국’ 네덜란드가(361명)이 스웨덴의 뒤를 이었다. 1인당 GDP 상위 20개국이 ‘같은’ 부국인데도 서로 ‘판이한’ 방역 성적표를 보이는 점에는 분명 이유가 있다. 각국 정부의 리더십이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아무리 돈이 넘쳐나도 국민들을 위해 제대로 써야 한다는 뜻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