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

‘다크웹’을 통한 마약과 오피오이드 계열 약물 유통이 충격적인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클릭 한 번으로 DMT 등 신종마약은 물론 오피오이드 약물 등 갖가지 마약류를 해외 직구를 통해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찰청 등 사정당국이 최근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왔지만 ‘다크웹’은 지금 이순간에도 국내 마약 유통의 숙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IP주소 추적이 어렵다는 다크웹의 폐쇄적인 특성상, 단속이 도저히 불가능 할 것이란 절망적인 예측도 나오고 있다.

‘다크웹’은 구글 네이버 등 일반적으로 접속하는 검색엔진과는 차원이 다르다. 전용 프로그램으로만 접속할 수 있도록 ‘숨겨진’ 웹으로 특정 브라우저를 통해 나침반을 찾듯이 접근할 수 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이다.

문제는 ‘다크웹’이 ‘마약 유통의 천국’이라는 점이다.

익명을 요구한 보안 전문가는 “다크웹 마약 시장의 규모는 엄청나다. 아주 쉽게 접근 가능하다”며 “다크웹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인터넷 위에 또 하나의 가상 네트워크가 구성된 개념이다. 여기서 마약 유통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19일 팜뉴스 취재진은 클릭 몇 번으로 간단히 다크웹에 접속할 수 있었다. 한 마약상이 운영하는 다크웹에서 “코카인과 스피드는 매일 독일과 프랑스에서 배송된다”며 “우리는 규제당국을 속일 수 있는 최고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홍보 문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LSD, 디메틸트립타민(DMT) 신종 마약도 쉽게 찾았다. 앞서의 마약상은 “모든 테스트를 마쳤다”며 “정점의 쾌락을 맛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LSD와 DMT의 가격과 수량 역시 구체적이었다. 회원가입을 하고 가상화폐를 충전하면 쉽게 구매가 가능하다. 다크웹에서는 형형색색의 빛깔을 지닌 엑스터시를 대량으로 판매하는 마약상들도 즐비하다.

수도권 지역의 한 약대 교수는 “LSD는 이미 알려진 약물이지만 DMT는 유사 화합물로 일종의 설계약물이다”며 “신경전달 물질인 페닐에틸아민의 기본 구조에서 나온 것이다. 페닐에틸아민 수치가 올라가면 행복감에 도취된다. 다행감과 중독성이 있다. 마약 규제가 강해지면서 화학구조를 바꾼 마약들이 다크웹을 통해 퍼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뿐만이 아니다. 다크웹에서는 트라마돌, 옥시코돈 등 최근 중독 문제로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오피오이드 계열 약물도 넘쳐난다. 접근이 쉬운 포털의 검색엔진에서는 다크웹 마약류 판매상들의 링크 주소가 도처에 널리 있다.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의 마약류 시장이 ‘어둠의 경로’인 다크웹을 중심으로, 독버섯처럼 번지고 있는 것.

국내의 다크웹 접속 건수가 2017년 5,000여 건에서 올 초 1만1000여 건으로 2배가량 폭증했점도 이를 방증한다. 앞서의 전문가는 “한국어 다크웹 마약 사이트에 가입된 인원만 5500명이다”라며 “주로 영어로 운영되는 마약 사이트 까지 합치면 어마어마한 수준일 것”이라고 밝혔다.

더욱 큰 문제는 다크웹을 통한 마약류 유통 단속이 ‘하늘의 별따기’에 가깝다는 점이다. 앞서의 보안 전문가는 “다크웹 네트워크는 6000대의 서버로 연결된다. 네트워크 안에서는 통신이 IP를 통해 이뤄지지 않는다”며 “공개키 암호 기반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IP를 추적할 수 없는 상태로 연결된다. 마약 유통에 최적이다. 국내 다크웹의 대부분이 마약 관련 사이트인 이유”라고 덧붙였다.

다중 프록시를 활용해 매번 암호화해 통신하기 때문에 철저하게 익명성이 담보돼 마약류 유통 추적 자체가 어렵다는 것.

다른 전문가 역시 “마약류 거래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뤄지면 범죄자는 CCTV에 찍힌다. 카드 결제를 범좌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며 “하지만 다크웹 거래는 IP 추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적이 안 된다. 신원을 알 수가 없다. 잡기가 어렵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다크웹의 또 다른 맹점은 ‘암호화폐’다. 앞서의 보안 전문가는 “우리나라에서 비트코인 거래를 하려면, 실명 인증이 필요하다”며 “하지만 다크웹은 외국 사설 거래소의 가상화폐를 사용한다. 우리 은행처럼 실명인증제가 아니다. 거래 흔적조차 찾을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밝혔다.

IP 추적이 어려운 것은 물론 결제가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로 이뤄지기 때문에 거래 전후로 소유자 식별이 어렵다는 뜻이다.

검찰은 지난해 최근 서울동부지검에 사이버수사부를, 서울중앙지검 강력부에 다크웹 전문 수사팀을 꾸려 대대적인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검거 사례가 손에 꼽히는 배경이다. 다크웹이 이미 국내 마약류 유통의 ‘숙주’로 자리잡은 까닭이다.

때문에 학계에서는 절망적인 목소리마저 들리고 있다. 앞서의 교수는 “다크웹의 마약 공급처는 주로 해외다”며 “새로운 마약들이 끊임없이 다크웹에 등장하고 있지만 구조적 특성상 경찰청과 보건당국이 도저히 단속할 수 없다. 다크웹 마약류 유통 시장 규모조차 파악할 수조차 없는 것이 현실이다. 경찰은 물론 저같은 전문가들도 포기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조언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