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의 역할을 조제중심이 아닌 환자상담 위주로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약사회에서 정부가 추진 중인 DUR 고도화 시범사업에 이어 약사들의 복약상담 및 포괄적 약력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자는 의견을 복지부에 전달한 것이다.

대한약사회는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연구책임자 신영석)에 의뢰한 ‘약사직능 발전을 위한 미래 약사비전 수립 연구’ 보고서를 보건복지부에 전달하고 연구진들의 의견에 대한 검토를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팜뉴스가 단독 입수한 이 보고서는 DUR 고도화 시범사업과 맞물려 약사 직능을 확대할 수 있는 제도 및 시범사업 시행 안을 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선 지역약국의 약사들이 처방 조제 업무에 집중돼 있어 사회적 변화에 따른 약물 적정 사용 관리를 충분히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국내 보건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231명 중 87명 응답)에서 약사 직능 중 가장 높게 평가된 업무는 ‘금기약물에 대한 처방검수 및 중재’였다. 하지만 ‘의약품 안전사용에 대한 모니터링 및 보고’가 중요성 대비 수행 적절성은 가장 낮았다.

대신 지역약국 약사들이 포괄적 약력관리, 정기적 모니터링 및 상담서비스 등 의약품과 관련있는 서비스를 더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구체적인 사업으로는 만성질환관리 참여, 단골약국제, 방문약력 관리 순으로 필요하다고 봤다.

이에 연구진은 약사 역할을 확대하는 방안 중 하나로 단골약국 인증제를 제시했다. 등록된 환자에게 포괄적인 약력관리를 해주는 약사에게 인센티브를 주고, 이를 이용한 환자에게는 약제비 경감 등을 통한 인센티브를 주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복약지도도 투약 후 모니터링을 통한 치료결과를 관리하는 형태로 개선해 장기적인 복용관리가 가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약사들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다학제 만성질환 사업에 참여해 고위험약물 장기복용자, 복합만성질환자 등에 대한 약물관리를 해야한다는 의견도 냈다. 이때 사업에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과 함께 팀을 구성하고 정기적인 환자 상태 확인을 함께 논의할 것을 전제로 했다.

그 외에도 방문약료서비스를 통한 취약집단과 특수계층의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며 시설방문약료, 재택방문약료를 예로 들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사업 및 복약지도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이 구비돼야한다는 게 연구진의 판단이다. 이미 지자체별로 일정기간동안 개별 사업이 진행됐지만 단발성에 그치고 있는 만큼 해당 사업의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포괄적 약료서비스 제공도 일정한 실무 경험을 갖춘 약사를 인증하는 방식의 약국 및 약사 인증제도를 도입해야한다고 했다.

그밖에도 시범사업을 통해 표준 사업모형을 설계하고 평가지표를 선정, 그 결과를 평가해 사업의 확대 등을 고려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약사회는 이번 연구결과가 약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직능을 확대할 수 있는 전문가의 견해라는 점을 빌어 복지부의 검토를 주문한 상태로, 향후에도 이같은 의견을 적극 개진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복지부는 DUR고도화 시범사업 자체가 약사직능을 확대하기 위한 사업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했다. 현재 시행중인 DUR의 내실화를 강화하기 위한 역할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기존에 의사와 약사에게 주어진 의무가 제대로 이행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려는 취지라는 것.

복지부는 "약사회에서 자체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해 진행한 연구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면서도 "향후 약사직능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