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 진입 속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반면 만성질환에 대한 대책은 뒤쳐져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아직도 고혈압과 당뇨 위주인데다 예방보다는 치료에 집중하고 있어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까지 대처하는 외국보다 부족하다는 것.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골다공증 환자는 2018년 기준 49만여명으로 2009년 25만여명 대비 약 2배가 늘었다. 이로 인한 진료비 역시 지난해 기준 626억7786만원으로 10년전부터 해마다 13.1%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골다공증 환자가 고관절이나 척추, 상박, 손목 등에 골절이 발생하면 의료비 또한 적게는 수백만원에서 많게는 천만원 이상까지 소요되는 등 골다공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5년간 1조원에 달한다.

무엇보다 골다공증으로 인한 환자들의 삶의 질 저하 및 경제적 비용이 증가하는 만큼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하기 이전에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는 약물치료를 강화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계명의대 내분비내과 조호찬 교수는 지난 30일 대한골대사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골다공증 골절은 후속 골절이 증가하는데다 사망률 증가로 이어지는 등 질병의 심각성에 비해 의료이융률 및 치료율이 낮다”고 지적하며 “치료 시작후 중단률이 높은 만큼 정책적 및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호찬 교수에 따르면, 현재 골다공증 치료를 할때에 치료 시작 시점에는 골밀도 T-score 2.5를 기준으로 건강보험에 적용이 되지만 골밀도값이 호전된 이후에는 보험이 되지 않아 치료를 중단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드러났다.

실제 국민건강보험 청구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골다공증 치료율은 34%에 불과해 당뇨 67.2%, 고혈압 65%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것. 또 골다공증환자는 50세 이상 성인 5명 중 1명 꼴인데 비해 정작 의료이용율은 60%에 그쳤다. 약물치료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100명 중 66명은 1년안에 치료를 중단한다는 조사결과도 나왔다.

이에 비해 미국에서는 골다공증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대퇴골절 위험률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어 최소 3년간 치료 지속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조호찬 교수는 "고위험 골감소증 환자에 대한 약제급여 기준이 개정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