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주 52시간 근무제도로부터 시작된 워라밸(Work-life balance) 트렌드가 국내 제약산업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영업조직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업계 특성상 이를 만족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국내 제약사들 중 누가 가장 시대의 흐름에 잘 적응하고 있을까?

보통 기업들의 워라벨 객관적 지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 가족친화인증제도다. 여성가족부는 자녀출산 및 양육지원, 유연근무제도, 가족친화 직장문화조성 등을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 및 공공기관 등을 매년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다.

그러나 가족친화인증기업(2019년 1월 기준) 총 3,328개사 중 상위 10대 제약사는 대웅제약(2008년)과 한미약품(2018년) 2곳이 전부다.

이 외에 한독(2011년), 보령메디앙스(2014년), 유유제약(2015년), 동화약품(2016년), 동아제약(2016년), 동아쏘시오홀딩스(2017년), 녹십자셀(2017년), 유영제약(2018년) 등 몇몇 중견 제약사들이 포함돼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비율로 봤을 때는 미미한 상황이다. 제약산업 전반이 ‘일과 가정의 양립’이라는 새로운 시대적 화두에 뒤쳐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까닭이다.

하지만 제약기업들도 할 말이 많다는 입장이다. 사실상 근본적 한계가 있는 가족친화인증제도로 인해 부정적 착시 현상을  일으키는 것인 만큼 실상을 제대로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인 것.  

국내 A제약사 관계자는 “가족친화인증을 위한 기준은 이미 갖춰져 있는 상황이지만 실익이 크지 않아 회사 차원에서 고민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냉정하게 말해 기업 이미지 제고 외에는 플러스 알파가 없다. 재인증을 받지 못할 경우 발생하는 기업 이미지 훼손도 무시할 수 없다”며 “대외적인 이미지 보다는 회사가 직원들을 위해 어떤 복지제도를 마련하고 시행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상당수 제약사들은 가족친화기업으로 인증될 경우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금융기관 등이 지원하는 186개의 혜택이 실익은 크지 않다고 평가하고 있다.

국내 B제약사 관계자는 “국내 제약사 상당수는 영업사원이 중심인 데다 학회, 제품 설명회 등이 자주 있어 가족친화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회사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며 “정부 주도 가족친화 정책이 제약업계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구색 맞추기용 혜택보다는 구체적인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가족친화인증제도가 제약업계에 제대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개별 제약사의 특수성을 정부가 일정 부분 인정해 주고 제도 자체가 갖고 있는 여성 중심적인 편향성을 어느 정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C제약사 관계자는 “영업직 고용이 많은 회사의 경우 인증 조건을 충족하기 쉽지 않다. 회사의 사업 모델이나 특성을 반영해야지 정부가 제시한 기준만으로 ‘가족친화 기업이다, 아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정부가 국내 제약산업의 환경을 고려한 적절한 혜택이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면 산업 전반에 워라벨 문화가 보다 빠르게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