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헌법재판소가 낙태죄에 대해 ‘헌법불헙치’ 선고를 내린 가운데 의약품 시장을 향해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보건당국이 미프진 등 불법 낙태약의 허가를 본격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후피임약의 일반의약품 전환 논의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전망이다. 낙태 관련 의약품 시장에서 일종의 ‘대격변’이 일어날 조짐이 보이고 있다.

미프진은 프랑스 루쎌 위클라프에서 1980년도에 개발한 경구용 임신중절약으로 미페프리스톤의 브랜드명이다. 미국, 영국, 호주, 스웨덴 등 61개국에서는 전문의약품으로 처방된다. 임신 초기인 7~8주까지 복용할 수 있고 임신을 유지하는 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의 작용을 중지시킨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05년 미프진을 필수의약품에 등록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미프진은 유통 자체가 불법이다. 식약처의 허가를 받지 않은 의약품이기 때문이다. 이는 그동안 일부 여성들이 암암리에 온라인상에서 미프진을 구입해온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에 따르면 ‘의약품 온라인 불법판매 적발실적’ 중 가장 많은 증가율을 보인 의약품은 미프진과 같은 낙태약이었다. 낙태약 불법 판매 건수는 2016년 193건이었지만 2017년에는 1,144건으로 6배 가량 급증했다.

하지만 ‘불법’이 ‘합법’으로 바뀔 변수가 생겼다. 헌재는 지난 11일 임신 초기의 낙태를 전면 금지하고 이를 위반했을 때 처벌하는 낙태죄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낙태죄가 66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직후, ‘미프진’ 도입 논의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는 까닭이다.

실제로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건약)은 “정부와 국회는 헌법불합치 결정이 여성의 안전한 임신중절권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미프진 도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제약회사는 미프진을 허가 받기 위한 검토를 서둘러야 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냈다. 여성의 자기결정권 보호를 위해 낙태죄가 폐지된 만큼, 미프진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는 뜻이다.

약업계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낙태약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된 이후 착상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며 “호르몬으로 조절해서 실질적으로 생명체에 대한 낙태를 유도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지 않고 도의적 문제도 크다”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보건당국의 분위기는 이전과 달려졌다. 12일 팜뉴스 취재 결과, 식약처는 헌재 결정 직후 미프진에 대한 허가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 관계자는 “미프진은 자기낙태죄나 의사 낙태죄에 반해서 허가를 해줄 수 없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금지됐던 것”이라며 “이제는 다르다. 국회가 법을 개정하면 미프진에 대한 심사가 이뤄질 수 있다”고 전했다.

이는 미프진 도입으로 국내 낙태약 시장의 ‘빗장’이 풀릴 수 있다는 뜻.

단순히 낙태약뿐만이 아니다. 낙태죄 폐지는 사후(응급) 피임약의 일반의약품 전환 문제에 대해서도 불을 당기고 있는 모양새다. 임진형 약사의미래를준비하는모임(약준모) 회장은 “현재 사후피임약은 일반의약품이 아니다. 그동안 여성들이 응급 피임을 위해 의사를 찾아 성관계 유무를 보고해왔던 이유다”라며 “하지만 헌재의 결정으로 여성의 자기결정권 침해가 확인된 만큼, 일반의약품 전환 논의도 화두의 중심에 설 수 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2년과 2016년에 걸쳐 성관계 이후 의사 처방을 받아 복용하는 사후피임약을 일반의약품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했지만 의료계와 종교계의 반발에 부딪쳐 최종결정을 유보했다. 현행법이 낙태죄를 처벌하고 있었기 때문에 보건당국 입장에서는 이들의 반대를 돌파해낼 명분이 약했다.

하지만 헌재 결정 이후 보건 당국 내부에서도 변화된 분위기가 엿보인다. 식약처 관계자는 “위헌 판결이 아니라 다소 조심스럽다”면서도 “일단 낙태약 허가 논의가 우선이다. 하지만 복지부와 국회가 임신 기간 등 전반적인 틀을 정해주면, 장기적으로 사후피임약의 일반의약품 전환 문제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사후피임약 시장의 선두주자는 현대약품의 '엘라원정'이다. 현대약품 측이 보건당국을 향해 상당한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는 배경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이번 판결을 계기로 일반의약품 전환을 예상한다”며 “다른 나라는 사후피임약을 OTC(일반의약품)로 판매하는데 국내는 ETC(전문의약품)로 묶어둔다는 의견이 많았다. 일반의약품으로 바뀌면 시장판도가 출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향후 제네릭 경쟁이 불붙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피임약 시장은 현재 규모가 크지 않다. 사전피임약 시장에서 대부분의 회사들이 철수하고 있는 이유”라며 “하지만 사후피임약의 일반의약품 전환은 얘기가 다르다. 변화가 일어나면 너도나도 시장에 뛰어들면서 제네릭이 우후죽순 생길 수 있다. 시장 파이가 급격히 커지면서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