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사들이 지난해 전반적인 실적 부진을 겪었던 가운데 연구개발(R&D)에 쓴 돈은 매출대비 평균 8.8%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비율이 대형사와 중소형제약사 간 2배 이상 간극이 벌어지면서 성장 동력의 ‘부익부 빈익빈’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4일 팜뉴스는 상장제약사 40곳의 사업보고서를 통해 2018년 연구개발비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한미약품이 1929억 원으로, 지난해 R&D에 가장 많은 돈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바이오 양대 산맥인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각각 2888억원, 1739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확인됐다.

 

우선 이번 조사대상에 포함된 40곳 제약바이오사의 평균 R&D 투자금액은 매출대비 8.8%였다. 이 중 26곳의 R&D 투자액이 전년대비 증가했고, 14곳은 감소해 지난해 주요 제약사 65%만이 R&D 투자를 늘린 것으로 드러났다.

매출의 10% 이상을 R&D에 투자한 기업은 12곳으로, 삼성바이오에피스(47%), 셀트리온(29%), 한미약품(19%), 동아에스티(14%), 대웅제약(13%), 유나이티드(13%), 종근당(12%), GC녹십자(11%), 일동제약(11%), 현대약품(10%)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연구개발 투자에 인색한 곳도 있었다. 광동제약(1%), 명문제약(0.7%), 화일약품(0.5%), 우리들제약(1.5%)의 R&D 투자금액은 전체 매출의 1% 수준에 그쳤다.

특히 이번 조사대상에 포함된 전체 40곳의 기업을 상위와 하위 50%로 각각 나눠 보면 R&D 투자 격차는 2배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매출 상위 20곳의 연구개발 투자비율은 평균 12.3%였으며 하위 20곳은 5.3%에 그쳤다. 정부 주도의 새로운 제네릭(복제약) 약가인하 개편안이 신약개발과 R&D 투자 촉진에 방점을 둔 만큼 중소사 입장에서는 어려움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 드러난 셈이다. 이는 그동안 중소제약사들의 캐시카우 역할을 해온 제네릭에 대한 규제가 대폭 강화되면 자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결국 R&D 투자를 통한 성장 동력 확보가 필수이기 때문.

연구개발에 집중하기 위해선 연구 인력 보강도 필수다. 현재 500인 이상의 연구 인력이 갖춰진 곳은 한미약품이 599명으로 가장 많았고 삼성바이오에피스(556명), GC녹십자(521명), 셀트리온 (516명), 종근당(512명) 순으로 집계됐다.

 

박사급 인원은 삼성바이오에피스 138명과 삼성바이오로직스 24명을 합해 삼성에서만 162명의 박사급 연구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어 종근당(83명), 녹십자(75명), 한미약품(65명), 유한양행(58명)순으로 박사급 인력이 연구 개발 파트에 포진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제약사들이 대규모 연구 인력 조직을 꾸리는 동안 중소제약사들은 평균 20~30인의 연구자를 확보하는 데 그쳤다. 조사대상 40곳 중 연구 인력을 100명이상 보유한 기업은 12곳으로 전체의 30%에 불과했다. 기업 간 양극화 현상은 시간이 갈수록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란 게 들어난 셈이다.

그렇다고 국내 대형 제약사들도 현재의 R&D 투자 수준에 안심하고 있을 수만은 없는 상황. 글로벌 빅파마와 비교하면 ‘우물 안 개구리’ 수준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빅파마 10곳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평균 8조4900억원으로, 국내 제약사 10곳의 투자액(1300억원)과 비교하면 그 격차는 무려 65배 수준이다. 존슨앤존슨의 연구개발비는 13조4300억원을 기록했고 애브비(12조1400억원), 머크(11조원), 노바티스(10조2400억원)가 10조원 이상을 R&D에 돈을 쏟아 붓고 있다.

 

국내 주요 제약사 10곳의 R&D 투자금액을 다 합쳐도 1조3000억원 수준으로, 절대액 측면에서만 보면 빅파마와 비교 불가 수준이다.

다만 빅파마들의 매출대비 R&D 투자비율은 19%로, 이는 국내 제약사 10곳의 평균 17%와 비교하면 그 차이가 크지는 않은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급변하는 제약바이오 생태계에서 상위 제약사와 중소제약사 간 성장률에 있어 기업간 양극화는 가속화 될 것”이라며 “R&D 비중을 늘려야만 시장생존도 가능한 만큼 정부도 중소제약사들이 상생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