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등의 열풍으로 지난해 2017년 우리나라 화장품 무역흑자가 4조 2,601억 원으로 사상 첫 4조 원을 넘어섰으며, 전년대비 대비 18.5% 증가했다. 화장품 생산실적 규모가 13조 5,155억 원으로 2016년(13조 514억원) 대비 3.6% 증가,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7년 국내 화장품산업 집계 자료에서 확인됐다.

이같은 무역흑자 증가세는 한류 바람에 힘입어 중국 중심에서 벗어나 동남아, 유럽 등으로 수출 지역이 다변화되는 동시에 원아시아 화장품·뷰티포럼 개최(베트남, 인도네시아), 중소화장품 수출지원센터를 통한 정보 제공, 규제개선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무역흑자 고속 성장세 유지

화장품 무역수지는 2012년 처음 흑자로 돌아선 후 6년 연속 무역흑자를 기록, `15년 1조원, `16년 3조원을 각각 돌파한데 이어 2017년에는 4조 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49억 4,464만 달러(5조 5,900억원)로 2016년(41억 7,842만달러, 4조 8,491억원) 대비 18.3%(달러기준) 증가, 최근 5년간 평균성장률도 40.1%로 고속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반면, 화장품 수입은 2017년 11억 7,623만 달러(1조 3,297억원)로 2016년 10억 8,020만 달러(1조 2,536억원) 대비 8.9%(달러기준) 증가했다.

특히, 사드 영향에도 중국 수출이 23.1% 증가하는 등 중화권으로 화장품 수출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아‧유럽 등 수출시장 다변화

지난해 사드 이슈가 있었음에도 중국 수출은 19억 3,228만 달러(2조 1,844억원)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홍콩(12억 2,245만달러, 1조 3,820억원), 미국(4억 4,547만달러, 5,036억원), 일본(2억 2,539만달러, 2,548억원)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 가운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전년 대비 각각 96.8%, 60.8%로 크게 증가했다,

또한 유럽 국가 가운데 독일(1,367만달러) 및 폴란드(1,311만달러)가 수출 상위 20위 내로 처음 진입했고 최근 미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중동지역 가운데 아랍에미리트연합(1,394만달러)이 새로 진입했다.

프랑스 등 선진국에 수출된 실적은 8억 2,077만 달러로 2016년(6억 4,696만달러) 대비 26.9% 증가한 것을 볼 때 우리나라 화장품이 해외에서 기술력과 품질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프랑스(3억 2,460만달러, 3,670억원)였으며, 미국(2억 9,130만달러, 3,293억), 일본(1억 8,232만달러, 2,061억원), 영국(4,852만달러, 548억), 이탈리아(4,636만달러, 524억) 등의 순이었다. 이들 상위 5개국 수입실적은 전체 75.9%이었으며, 전년 대비 영국과 이탈리아 순위가 바뀐 것 외에는 변동이 없었다.

생산실적은 증가세 지속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 규모는 13조 5,155억 원으로 ‘16년(13조 514억원) 대비 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이 7조 6,178억원(56.36%)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색조 화장용(2조 1,417억원, 15.85%), 두발용(1조 5,298억원, 11.32%), 인체 세정용(1조 2,601억원, 9.32%) 등의 순으로 집계, 최근 5년간 유형별 생산실적 순위가 동일하다.

업체별로는 ‘(주)아모레퍼시픽’이 4조 898억 원(30.26%)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주)엘지생활건강’이 3조 9,672억 원(29.35%), ‘애경산업(주)’ 3,998억 원(2.96%), ‘(주)이니스프리’ 1,905억 원(1.41%), ‘(주)코리아나’가 1,724억 원(1.28%) 등의 순이었다.

특히, 페이스케이크 등 색조 화장용 제품류를 해외시장 판매에 주력하고 있는 해브앤비(주)와 ㈜씨티케이코스메틱스의 생산실적이 전년 대비 각각 63.4%, 18.2% 증가하여 상위 20위 내 업체로 새로이 진입했다.

기능성화장품 꾸준한 성장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생산 실적은 4조 8,558억 원으로 2016년(4조 4,439억원) 대비 9.3% 증가했으며, 기능성화장품의 최근 5년간 성장률도 17.9%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미백‧주름‧자외선차단 기능 가운데 1종류 기능을 나타내는 제품은 다소 감소했지만 2종류 이상 복합기능을 지닌 제품의 생산실적은 2조 3,565억 원으로 2016년(2조 2,326억원) 대비 5.5% 증가해 한 개 제품으로 여러 기능을 기대하는 최근 소비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017년 5월부터 기능성화장품 범위 확대(3종→10종)로 의약외품에서 화장품으로 전환‧관리되는 제품의 생산실적은 5,499억 원으로 전체 화장품 생산실적에서 약 4%를 차지했다.

기능성화장품은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등 기존 3종에 모발색상변화(탈염‧탈색 포함), 제모제, 탈모증산 완화에 도움, 여드름성 피부의 완화에 도움, 아토피성 피부로 인한 건조함 등 완화에 도움, 튼살로 인한 붉은 선을 엷게 하는데 도움 등 7종이 추가돼 총 10종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