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면역항암제의 적응증이 빠르게 확대되자 재정부담에 한계를 느끼면서 이를 특별관리대상으로 지목하고 새로운 급여기준 도입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약업계 한 소식통에 따르면 당초 이달로 예정됐던 비소세포폐암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와 ‘옵디보’에 대해 급여 확대여부를 판단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암질환심의위원회(암심위)가 무산됐다.

실제로 본지 확인 결과, MSD 키트루다는 지난해 11월, BMS 옵디보는 작년 말 각각 1차 치료와 PD-L1 발현율에 상관없이 모든 환자에 대해 급여 확대를 신청해 놓은 상태다.

사실 키트루다의 경우, 최근 영국에서 폐암 1차 치료제로 승인된 데다 옵디보 역시 PD-L1 발현율 1% 미만에서 생존율 개선을 증명해낸 만큼 암심위 통과를 어느 정도 기대했던 상황.

하지만 반년이 지난 현재까지 암심위는 수차례 연기를 거듭하고 아직 제대로 된 논의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사실상 올해 안으로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의 최종 의결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이라는 게 약업계 분석이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정부와 기업 간에 면역항암제의 시장규모를 판단하는 데 있어 극명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한 관계자는 “제약사는 폐암치료제가 가장 큰 시장인 만큼 급여권 진입에 상당히 적극적이다. 반면 시장성이 떨어지는 적응증에 대해선 급여협상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만약 폐암약 시장이 급여권에 먼저 들어올 경우 정부의 재정악화가 예상되는 만큼 이는 결국 다른 적응증의 급여 진입까지 막는 일을 초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폐암에 대한 급여확대 과정이 이전 면역항암제의 심사 루트와는 다른 게 사실”이라며 현재 내부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변화를 인정하면서 “향후 면역항암제를 새로운 방법으로 관리하기 위해 투입될 재원과 약가조정, 비용분담 문제 등에 대해 현재 실무 차원에서 논의가 진행 중인 단계”라고 밝혔다.

이는 최근 면역항암제가 적응증 확대에 속도를 내자 정부가 별도의 급여기준을 마련하고 면역항암제 ‘맞춤형 카드’를 들고 나오겠다는 것.

이에 대해 약업계 한 관계자는 “해외에선 생존기간을 대폭 연장한 데이터에 상응하는 급여 확대가 이미 진행되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의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며 “면역항암제가 처음 도입될 당시 제기됐던 국내 보험급여 기준에 대한 대수술의 필요성이 이제는 현실이 된 만큼 정부는 시간 끌기로 탁상행정을 감추려 하지 말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