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황지만 이사]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글로벌 수준의 윤리경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이사장단사 및 이사사들을 대상으로 국제표준기구 뇌물방지경영시스템을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ISO 37001(반부패경영시스템)’에 대한 국내 제약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협회는 이사장단사와 이사사 등 총 51곳을 5개 그룹으로 나눠 오는 2019년 12월까지 순차적으로 ISO 37001을 도입할 계획이다. 먼저 1차로 오는 12월부터 내년 5월까지 녹십자·대웅제약·대원제약·동아에스티·유한양행·일동제약·JW중외제약·한미약품 등 이사장단사 8곳과 자발적으로 나선 코오롱제약이 컨설팅을 거쳐 ISO 37001 도입 및 인증 절차를 밟는다.

그러나 협회 의지와는 달리 아직까지 회원사를 포함한 국내 제약기업들의 인식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주관하는 CP 등급평가 인증에 머물러 있는 수준이다. 이에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황지만 이사를 만나 ‘ISO 37001’에 대한 견해와 함께 제약기업들에 제공하고 있는 관련 업무에 대해 자세히 들어봤다. 



LSHC 컴플라이언스 솔루션팀 운영
리스크 관리 및 부정부패 선제 예방 자문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은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산업 규제를 전담하고 있는 LSHC 컴플라이언스 솔루션팀(Life Science & Health Care Compliance Solution Team)을 운영하고 있다.

컴플라이언스 전문가인 황지만 이사는 LSHC 컴플라이언스 솔루션팀 리더로, 관련 기업들이 사후 적발이 아닌 여러 가지 법률적 이슈를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전문팀과의 협력을 통해 eDiscovery, Regtech, 컴플라이언스 운영 솔루션 등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 산업제약, 의료기기, 바이오 등 관련 기업들에게 컴플라이언스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황 이사는 “LSHC 산업이 급격한 시장변화에 따른 사업 및 운영 모델의 혁신, 임상 혁신 추진, 약가 규제 및 비용 억제 조치의 강화에 따른 수익성 감소 및 관리, 규제의 복잡성 및 대응체계 구축 등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제약, 의료기기, 바이오 기업들은 법령으로 인한 구속 및 규정 위반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리스크를 관리하고, 부정부패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최근에는 해외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증가하면서 선진국들의 LSHC 산업 규제에 대한 제약업계의 전반적인 이해도와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 통해 리스크 관리
R&D 역량·전문성 함양 등 기업 전략 정비


부정청탁 및 불법리베이트 등 불법행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황지만 이사가 꺼내든 것은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프로그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은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통해 부정부패 조사, 컴플라이언스 자문, 불법행위 방지, 반부패 경영자문, 분쟁조정 지원, 윤리경영 개선과 관련한 자문업무 및 시스템 구축을 통한 기업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단순한 리스크 관리를 넘어 기업의 연구개발(R&D) 역량과 직원들의 전문성 함양 등 기업의 새로운 장기 전략 정비와 이행을 포함하고 있다는 황 이사 설명이다.

황 이사는 “LSHC산업의 시장 환경은 점차 준법준수, 윤리의식 제고 및 불법 리베이트 금지 등 부정행위를 용납하지 않는 방향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며 “최근 의료 및 바이오 분야 투자가 증가되는 상황에서 제약, 의료기기 부문을 시작하는 대기업과 R&D 단계의 바이오 기업은 선진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 기반 리스크의 사전 대응이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

최근 발생되고 있는 CSO, CRO, 도매상 등을 통한 부정행위와 관련해 제약기업들도 발생원인을 알고 있으나, 추후 어떻게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회사가 가진 관련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갖고 있다.

황 이사는 “내·외부 부정 발생이 빈번하게 일어났던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진행한 ‘컴플라이언스 운영 모델 구축 프로젝트’에서 부정부패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했다”며 “연간 수천 억 원 정도로 추산되는 ‘부정’에 의한 재무적 손실을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통해 방지함으로써 고객사의 재무적 손실 발생 위험으로 낮추고 위험관리가 가능하도록 컨설팅을 진행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더불어 오는 2018년부터 제약, 의료기기 기업들에 경제적 이익 지출보고서 제출이 의무화됨에 따라 업무 효율성이 확보된 프로세스 개선과 시스템 구현으로 재무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컴플라이언스 운영모델에 기반 한 솔루션을 약 20개사에 제공하고 있다.

“ISO37001 인증, 기업 내부 노력 절실”
공정 경쟁 위한 투명한 영업활동이 중요


그렇다면 제약업계가 준법윤리경영을 위해 꺼내든 ‘ISO37001’에 대해 황 이사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그는 ISO37001가 부패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기업의 상당한 주의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할 수 있지만 인증이 곧 윤리경영 자체가 될 수는 없으므로 기업 내부적인 노력이 무엇보다 더욱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황 이사는 “국제적으로 작년 10월에 기업의 반부패 경영 체계에 대한 공감대는 ISO37001로 합의가 됐고 제대로 준비한다면 최근 제약산업의 리베이트 사건 등 부정적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좋은 대안이 될 수는 있을 것”이라며 “다만, 인증만을 위한 문서화 작업으로 추진되지 않도록 내부적으로 지속적인 의지를 갖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부패 리스크 평가와 제3자 관리 영역에 대한 실질적인 도입에는 상당한 시간과 투자, 그리고 경영진의 반부패 의지가 요구된다는 것.

아울러 “기업 임원들이 최근 사회 변화와 고객들의 요구 사항을 받아들이고 기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공정 경쟁을 위한 투명한 영업활동이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