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김민건 기자]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이 국감 참고인으로 나서 국내 항암 시장 1조원의 80%를 다국적기업이 차지하고 남은 20%를 국내 제약사가 차지한 현실을 밝혔다. 정부가 임상시험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국회의상중계시스템)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국회의사중계시스템)

서 원장은 20일 국회 보건복지위 종합감사에서 "국내에서 암은 사망원인 1위로 2, 3, 4위를 합해야 1위일 정도로 압도적이다. 국민건강 향상은 암을 극복하지 않고서는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 원장은 "지난 20년간 암의 5년 생존률은 많이 향상됐다. 약 40% 내에서 70%까지 상당히 놀라운 향상을 보였고, 현재 우리나라 암 치료는 전 세계 최고 수준으로 5년 생존율이 미국, 일본, 프랑스에 전혀 뒤처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 원장은 "이같은 모든 치료 성적이 선진국 암 치료 기술을 도입한 결과로 우리가 새로운 신약을 개발하거나 그런 것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서 원장은 "국내 항암 시장은 1조가 넘지만 약 80%를 다국적 기업이 차지하고 국내 기업이 20%다. 국내 기업은 대부분 특허 만료된 의약품 복제품들이다. 글로벌 신약은 없다고 보면 된다"고 현실을 설명했다.

서 원장은 국내에서 글로벌 신약 개발이 불가능한 이유를 세 개 꼽았다. 먼저 개발비였다. 서 원장은 "항암 신약을 하나 개발하는데 10년이란 기간에 1조원 정도 든다. (개발)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성공 확률이 낮은 고위험 산업이다. 많은 제약바이오 기업이 후보물질을 개발해도 전체 개발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중간에 다국적기업에 (후보물질을)판다"고 말했다.

이에 서 원장은 대안을 제시했다. 서 원장은 "국가가 중간 후보물질을 임상으로 연결하는 부분에서 지원한다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서 원장은 "신약 개발을 위해선 임상자료 등을 연계해야 한다. 그런데 현재 우리는 많은 자료가 분산돼 있다. 예로 질병청에는 바이오뱅크가 있고, 과기부에는 유전체, 범부처에서는 국가바이오 빅데이터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개방형 통합 연구자료로 만들어 제공하면 (신약개발) 기회가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서 원장은 "또 하나 임상을 하면 한 개 기관이 아닌 다기관이 연결돼야 한다. 영세 기업으로선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기에 다기관이 공공임상시험 네트워크를 만들면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서 원장은 "우리나라 연구비를 보면 4400억원이다. 이중 암에 관한 연구비는 568억원으로 미국국립암센터 연구비는 6조8000원"이라고 언급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