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감염자 바이러스 유전자 서열 정보. 서정숙 의원실 제공
국내 코로나19 감염자 바이러스 유전자 서열 정보. 서정숙 의원실 제공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가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힘을 쏟은지 7개월이 지났지만, 지금까지 연구를 위해 정부가 민간 제약사 등에 제공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전체 7가지 종류 중 단 2종에 불과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은 7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하여 총 7가지로 분류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여태껏 단 2종만 연구용으로 분양하고 있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실제로 질병관리청은 2월 11일 부터 9월 7일까지 총 263건의 바이러스를 연구용으로 분양해 왔으나 S타입 233건, L타입 30건으로 단 2종류의 바이러스만 제공하고 있었다.  
 
서 의원은, “지난 5월 이태원클럽발 감염확산 이후 GH형 바이러스가 주로 전파되고 있다”며 “질병관리청 역시 코로나19 감염확진자 1,040명의 유전자 서열 정보 분석을 통해 GH타입이 67.4%로 가장 많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4.5%에 불과한 S타입과 L타입만을 연구기관 등에 계속 제공해 온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질타했다.  

서 의원은 “질병관리청이 이태원 감염사태 이후 4개월이나 늦은 9월 15일 GH 등 다른 타입의 바이러스 분양에 나서겠다고 하는 것은 코로나19 종식에 필수적인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인프라 조성의 구체적인 계획 없이 미봉책에만 급급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제약사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시험할 수 있는 민간 바이러스 연구시설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정숙 의원실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BL-3) 이상의 시설은 국내 72개이지만, 이 중 민간기관은 2개에 불과했다. 

특히 백신·치료제를 직접 개발하는 제약회사가 보유한 시설은 전무한 수준이다, 국내 제약사들은 바이러스 관련 시험 모두를 외부 위탁하고 있어 자체 연구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청은 9월 13일 발표를 통해 민간 제약사 등 19개 기관의 시험시설 사용 신청에 대해 10곳을 허가했다고는 하지만, 해외 제약사들의 인프라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서정숙 의원실이 제공한 자료에 의하면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선두 주자인 우한생물학연구소는 BL-3 시설로 백신을 직접 개발하고 있다. 현재 백신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미국 화이자 역시 BL-3 수준의 시험시설을 갖추고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더구나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 연구과제로서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위하여 총 17억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정부의 바이오제약산업 육성에는 충분치 않아 한국의 바이오제약산업이 세계적 역량을 갖추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서정숙 의원은 “정부는 이러한 지적에 대해 ‘GH형의 분양은 절차를 밟느라 늦었고, S,L형은 긴급한 위기 상황이라 즉시 분양했다’고 입장을 밝혔다”며 “그런데 과연 2월에 비해 GH형이 유행하기 시작했던 5월이 덜 긴급한 상황이었는지 묻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가 코로나19 위기상황이라며 온 국민에게 이라며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데, 정작 질병관리청은 절차적 문제를 논하며 늑장대응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