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투명마스크 이미지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서 청각 장애인들의 목소리가 이목을 끌고 있다. 정부가 ‘입모양’이 보이는 ‘투명마스크’ 생산을 지원해달라는 주장이다. 청각장애인은 물론 난청 환자 관련 단체들도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보건당국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지난 6일 청와대 게시판에는 ‘투명마스크’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인 A씨는 “감염예방 차원에서 일반 마스크는 중요한 도구이지만 청각장애인들에게는 소통의 벽이 된다”며 “수어로 소통한다고 해도, 입 모양과 표정에 따라 같은 동작도 다른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상대방의 입 모양을 읽어야 온전히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학생들은 입모양이 보이지 않아 수업을 따라가지 못해 학습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직장인에게는 구성원 간의 소통의 어려움으로 직장생활을 하는데 크고 작은 어려움이 나타난다”며 “이는 곧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에 입모양이 보이는 투명마스크 착용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난청 환자들의 현실도 다르지 않다.

한국난청인교육협회 관계자는 “재활이 잘돼서 듣고 말하는데 수월한 친구들이 있다”며 “하지만 수업 중에도 일반 마스크를 내려달라고 요청할 정도다. 입모양이 보이지 않아 의사소통이 어려웠기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일반마스크로 인해 의사소통은 물론 난청인 대상의 교육에도 문제가 있다는 의미다.

청각 장애인들과 난청 환자들이 투명마스크를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일부 민간단체는 수작업으로 투명 마스크를 자체제작을 하고 무상으로 배포해왔다.

하지만 청원인 A씨는 “자원봉사자와 후원에 의존하여 수작업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느리고 일반 보건용 마스크에 비해 가격이 비싸 필요 수량을 충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고 전했다.

실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투명마스크 1개당 가격은 최소 4500원에서 최대 2만 5천원에 달할 정도로 천차만별이다. 제작이 어렵고 희소가치 높기 때문에 일반 마스크 가격을 뛰어넘은 것.

투명 마스크에 안전성 우려가 있다는 점도 문제다. 앞서의 청원인 A 씨는 “보건마스크는 완전히 공기가 폐쇄된 구조”라며 “보건마스크를 이용해 투명마스크를 만들어도 투명 필름에 김이 서려 입 모양이 보이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턱 부분에 공간을 주면 김이 서리진 않지만 방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 청원을 제기한 A 사회복지단체 관계자는 “가격도 가격이지만 투명 마스크의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은 점에 착안해 청와대 청원을 제기한 것”이라며 “봉사자들이 제작하는 상황이지만 대량 생산이 가능한 공장도 없다. 정부의 지원으로 안전한 형태의 투명 마스크가 대량 생산 됐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보건당국은 미온적인 입장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우리가 모든 마스크를 관리하는 것은 아니다”며 “식약처가 마스크 인증을 담당한다고 하더라도, 개별 마스크에 대해 인증을 강요하지도 않을뿐더러 생산설비에 관한 지원예산도 없다. 청각장애인용 마스크는 의약외품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부에서 나서는 것이 맞을 것”이라고 밝혔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