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본격화한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서 해외 입국자에 대한 더욱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 집단 감염의 뇌관이 될 수 있는 ‘폭발적 전파’를 원천 차단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태원 집단 감염’의 원인이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 클럽 관련 신종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첫 환자 신고 5일 만에 86명으로 늘어났지만 최초 전파의 당사자는 여전히 확인되지 않은 상태다.

전문가들이 이태원 집단 감염의 ‘진앙지’를 ‘해외 입국자’로 추정하고 있는 까닭이다.

익명을 요구한 전문의는 “이태원 집단 감염이 일어나기 직전, 지역 감염 사례는 거의 없었다”며 “그때만 하더라도 국내 확진자 수는 사흘째 0명이었다. 국내 확진자에 의한 재생산지수(Rt)가 없다고 봐도 무방했다. 하지만 해외유입 확진자의 비율은 그때도 꾸준히 80~90%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는 국내 확진자가 이태원 집단 감염을 일으켰다는 과학적인 개연성이 상당히 낮다는 뜻”이라며 “구체적인 역학조사를 해봐야 하겠지만, 해외 입국자가 이태원 집단감염을 확산시켰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방역당국도 앞서 최초전파자로 추정된 용인의 66번 확진자(29) 외에 별도의 ‘감염원’이 존재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9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단일한 공통 감염원 또는 초발환자 1명에 의한 전파라기보다는 다른 가능성, 산발적인 별도의 연결고리가 있을 가능성도 상당히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해외 입국자에 대한 방역 관리를 더욱 엄격히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는 배경이다.

앞서의 전문의는 “방역당국의 해외입국자에 대한 관리에 허점이 상당하다”며 “자발적인 자가격리는 기본적으로 제대로 지켜지기 어렵다. 자가격리 앱과 안심밴드 정책이 한계가 있는 이유다. 자발적인 자가 격리를 요구하는 것보다는 정부가 해외입국자의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국가 시설에 입소시킨 뒤 상태를 관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해외 입국자의 자가 격리 무단 이탈 사례가 최근 급증했다. 7일 부산에서는 멕시코에서 입국한 30대 남성이 자가격리 장소를 무단으로 이탈한 뒤 절도 혐의로 경찰에 붙잡힌 사건이 일어났다. 이튿날 몽골 국적의 해외 입국자도 대구에서 자가 격리중 주거지를 무단 이탈했다.

‘제2의 이태원집단감염’이 전국 곳곳에서 폭발할 수 있다는 경고음이 들리고 있는 배경이다.

앞서의 전문의는 “정부가 계속 뒷북 대응만 하고 있다”며 “모든 해외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진단 검사도 이태원 집단 감염 이후 뒤늦게 결정됐다. 우리나라를 제외한 미국 유럽 등이 완화정책을 펴고 있어 해외 입국자는 점점 늘어날 것이다. 장기적으로 해외 입국자를 제대로 관리 하지 않으면, 제2, 제3의 이태원 집단 감염 사례가 폭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