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왼쪽부터 윤승규‧성필수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박동준 가톨릭 간 연구소 연구원
사진. 왼쪽부터 윤승규‧성필수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박동준 가톨릭 간 연구소 연구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연구팀이 간암의 새로운 면역 회피 기전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로 인해 향후 간암 면역치료의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난치성 종양인 간암은 발생률이 높은 국내 5대 암 중의 하나다. 조기에 발견될 경우 완치율이 높지만 진행된 간암에서는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이 매우 낮다. 특히 진행성 간암에서는 항암, 방사선 및 표적치료에 내성을 보이는 경우가 흔해 예후가 매우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행성 간암의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치료가 시도됐지만, 최근 도입된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도 단일요법으로는 반응률이 20%에 머무르고 있다.

각종 치료에 저항성을 보이는 원인으로 ‘암 줄기세포’가 지목된다.

암세포의 작은 부분(5% 미만)을 차지하는 암 줄기세포는 암 조직을 유지하는 구실을 하고, 치료 후 줄어든 암세포를 재생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대표적인 간암 줄기세포의 마커인 EpCAM(epi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의 발현이 높은 세포가 자연살해세포(NK세포) 등의 종양 살상 세포에 의한 면역기전을 회피하기 위해 세포 표면의 CEACAM1(carcinoembryonic antigen-related cell adhesion molecule 1) 분자 발현을 증가시킨 것을 확인했다.

대표적인 종양 살상 세포인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는 간암 환자의 재발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EpCAM을 발현하는 간암 줄기세포의 CEACAM1의 발현은 종양 살상 세포의 항종양 살상 효과를 방해해 결과적으로 면역치료의 효율을 반감시킨다.

연구팀은 간암의 생쥐 모델을 활용해 CEACAM1을 저해한 결과 종양 내 자연살해세포 및 T 세포의 활성도가 증가하고, 종양의 크기가 줄어들었다고 전했다.

윤승규 교수는 “현재 약 20%의 반응률에 머물어있는 간암의 면역 항암치료의 반응률을 높일 수 있는 신규 타겟 분자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성필수 교수는 “지속적인 간암의 면역 회피 기전 연구를 통해 새로운 면역치료 방안을 고안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종양면역치료저널(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IF 8.728)’에 3월 27일 자로 게재됐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